주메뉴바로가기 좌측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정몽준 이사장 포커스

상세페이지
아산재단 창립 34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등록일 : 2011.06.24

재단 창립 34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아산 정주영과 한국 경제 발전 모델’을 주제로

 

재단은 창립 34주년을 기념해 23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아산정책연구원에서 ‘아산 정주영과 한국경제 발전 모델 - 창업, 교육, 복지의 조화’라는 주제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정몽준 재단 이사장의 인사말와 송 자 전 연세대 총장의 축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재단 관계자와 각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우리사회 최고의 난제 중 하나인 일자리 창출과 청년실업 등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창업과 교육, 복지의 조화라는 자유시장 경제체제의 기본에서 해법을 찾으라고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정몽준 재단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중장기 전망이 어둡고 복지 지상주의가 부상하고 있는 오늘의 상황에서 한국경제 발전의 모델을 제시하고 실천한 아산 정주영의 비전과 성취를 되돌아 봄으로써 우리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혜안을 함께 찾아보자는 취지에서 이번 심포지엄을 준비했다”고 밝혔습니다.



인사말을 하고 있는 정몽준 이사장


송 자 전 연세대 총장은 축사에서 "아산은 포기하지 않는 도전정신을 지닌 불굴의 기업인으로 보통사람들과는 다른 면모를 지닌 분이었다. 또한 아산은 이미 1970년대 섬기는 리더십을 몸소 실천하셨는데, 생산현장에서는 회장에서부터 근로자에 이르기까지 같은 작업복을 입고 격의 없이 검소하게 꾸려갔기 때문에 근로자들이 일체감을 갖고 뭉칠 수 있었고, 그것이 현대가 지금처럼 우뚝 선 밑거름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몽준 이사장 인사말 전문]


반갑습니다.
비가 많이 오는데 이렇게 참석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재단 창립 이래 해마다 열어 온 아산재단 심포지엄이 34주년을 맞았습니다. 올해는 특별히 재단을 창립하신 제 선친 서거 10주기가 되는 해여서 해보다 감회가 더 깊습니다. 올해 심포지엄의 제목을 ‘아산정주영과 한국경제발전 모델’이라는 제목으로 해주셔서 아주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요즘 대학생들을 상대로 강연할 기회가 자주 있었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학생들에게 졸업한 다음에 현대나 삼성에 취직하는 것도 좋겠지만 창업을 생각해보라고 권유를 합니다. 20대의 젊은이들이 창업한 미국의 대표적 IT 회사들인 애플, 구글 페이스북의 사례도 이야기 해봅니다. 그러면 학생들은 저를 보고 취직하기도 어려운데 창업은 무슨 소리냐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그럴때면 저는 선친의 이야기를 해봅니다. 선친은 일제시대에 초등학교 밖에 안 나오셨지만 현대라는 세계적 기업을 세우셨습니다. 요즘 우리나라 상황이 아무리 어렵다고 해도 식민지 시대의 대학도 못나오신 분이 창업할 때보다는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실 저 자신도 학생들에게 이런 얘기를 하다 보면 밑천이 딸리는 기분이 듭니다. 창업이란 것이 과연 무엇인지 저도 생각을 해봅니다. 창업정신은 어떤 것인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창업이란 단순하게 회사를 차려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물이나 사상을 새롭게 보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라는 것을 새삼 생각해봅니다.

선친의 창업과정이 그런 것이었고, 선친의 인생역정이 항상 새로움에 대한 도전의 연속이었다고 생각을 해봅니다. 선친의 창업정신을 생각해보면서 오늘의 현실 속에서 유용성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학술 심포지엄 주제를 ‘아산 정주영과 한국경제 발전 모델’로 정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오늘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해주실 ‘송자’ 총장님, 기조연설을 맡아주신 ‘정갑영’ 교수님, 주제발표와 토론에 참여해주신 교수님들 전문가 여러분, 그리고 참석해주신 내빈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아산사회복지재단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