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좌측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출판사업

상세페이지
번호 : 제468집 저자 : 정의철
도서명 :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건강 :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분석과 대안 모색 소속 : 상지대 언론광고학

책소개

코로나19 같은 신종 감염병의 연이은 등장으로 건강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질병과 건강에 대한 정보와 소통 욕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질병과 건강은 높은 불확실성과 복잡성, 민감성을 갖는 영역이기 때문에 건강문제에 대한 소통, 즉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이 더욱 요구되며,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등 그 비중이 커져가는 이주민들이 겪는 건강문제를 의학적 관점이 아닌 사회과학, 특히, 커뮤니케이션학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주민들이 그들의 시선에서 건강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수행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이주민이 그들의 건강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건강함’을 위해 주체적으로 활동하면서 지역과 마을에서 ‘이주민건강커뮤니케이터’ 등으로 참여한다면 건강을 넘어 모든 영역에서 이주민의 ‘임파워먼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했다. 이 책을 통해 건강불평등의 엄존 속에 ‘건강약자’인 사회적 소수자와 약자를 위한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저자소개

 

정의철

 

거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PHDIN COMMUNICATIONINFORMATION AND LIBRARY STUDIESRUTGERS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현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

현 한국언론학회 통일과 다문화커뮤니케이션 연구회장, 전 한국소통학회장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2) 다문화사회 이해하기
3) 연구문제의 도출

제1장 다문화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이주민 권리
1)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권리
2) 이주민의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3) 왜 건강과 커뮤니케이션인가?

제2장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
1) 다문화주의의 이해
2) 다문화의 배경과 다문화 정책

제3장 이주민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제4장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
1)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목표
2) 비판적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건강

제5장 다문화사회와 건강
1) 이주민과 건강불평등
2) 문화 간 헬스커뮤니케이션과 ‘의학적 자민족중심주의(medical ethnocentrism)’
3) 건강의 맥락적 구성주의와 문화적응

제6장 연구방법과 연구절차
1) 참여적 연구와 비판적 헬스커뮤니케이션
2) 인터뷰 참가자 모집과 연구 수행

제7장 연구결과와 해석
1) 인터뷰 참가자의 특성 분석
2) 이주민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8장 이주민의 병의원 이용 및 의료커뮤니케이션 경험

제9장 이주민의 건강정보 습득과 커뮤니케이션 채널
1) 이주민의 헬스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채널
2) 헬스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채널

제10장 결론과 제언: 이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 탐색

제11장 맺음말과 제언

참고문헌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아산사회복지재단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