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업
번호 : | 제436집 | 저자 : | 이민화 |
---|---|---|---|
도서명 : | 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진화 | 소속 : | (사)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
책소개
일자리는 사라지지 않고 진화한다는 것이 지난 250년간의 산업혁명 통계로 입증되고 있다. 산업혁명 전 과정에서 생산성 향상의 기술은 일자리를 파괴하고, 욕망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기술은 일자리를 창출해 왔다. 즉 일자리는 창조적 파괴 과정을 통해 진화해 오고 있다.
일자리의 원천은 인간의 미충족 욕망으로,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일자리는 자기표현과 자아실현의 욕망에서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현재의 일자리 정책은 과도한 기존 산업의 보호 정책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없는 구조다.
기술의 파괴와 욕망의 창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자리 패러독스에 대한 대안으로 일자리+혁신+사회의 3대 안전망이 요구된다. 이제 일자리는 생산(기술 혁신)과 소비(인간 욕망) 그리고 순환의 관점(3대 안전망)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것이 ‘일자리를 보호하면 일자리가 줄어들고 일자리를 보호하지 않으면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일자리 패러독스를 해결하는 대안이다.
특히 250년간 시장경제가 풀지 못한 난제인 성장과 복지의 순환을 이중고리 순환 모델의 3대 안전망(혁신 안전망, 일자리 안전망, 사회 안전망) 정책으로 구현 가능해졌다. 이제 혁신은 저해하지 않고 분배는 안전망 구축으로 뒷받침하는 선순환 일자리 정책이 지속가능한 ‘포용적 성장’의 핵심 대안으로 부상해야 할 것이다.
저자소개
이민화
KAIST 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사)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목차
I. 연구 개요
1. 연구목적 및 배경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II. 연구 요약 1. 연구내용 및 결과
III. 연구보고서 전문 1. 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진화 1)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논란 (1) 노동 총량 불변의 법칙 (2) 노동종말론 2) 일자리 변화에 대한 엇갈린 주장들 (1) 소멸되는 일자리 (2) 기술적 요인 (3) 비용적 요인 (4) 사회적 요인 (5) 생성되는 일자리 (6) 4차 산업혁명 일자리의 선행 연구 3) 산업혁명기 일자리 진화상 2. 일자리 진화의 원천, 인간의 욕망 1) 일자리 진화의 원천 (1)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 (2) 미충족 욕구 지향 기술 등장 2) 인간의 새로운 욕망, 자기표현 욕구와 자아실현 욕망 3) 새로운 일자리의 순효과 연구 4) 일자리 재정의와 미래 일자리 진화상 5) 일자리의 초연결과 자기조직화 3. 일자리 진화의 본질, 복잡계와 일자리 1) 복잡계와 일자리 진화 2) 복잡계와 일자리 패러독스 3) 일자리 3대 안전망과 창발적 관리 4. 일자리 선순환 모델과 정책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IPCEO가 예상하는 미래 일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