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조연설 |
|
1) 사이버 시대의 도래와 삶의 질 - 김경동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 주제강연 |
|
1) 사이버 시대의 가상현실과 인간의 정체성 - 엄정식 서강대 철학과 교수 2) 사이버 시대 신세계 질서의 전망과 대응 - 김경원 사회과학원 원장 |
♣ 분과주제 |
|
제1분과 : 사이버 민주주의와 삶의 질 |
1) 사이버 민주주의의 발전과 과제 |
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2) 사이버 민주주의와 지역발전(지방화) |
윤영민 한양대 정보사회학과 교수 |
3) 사이버 시대의 사회운동과 NGO
|
이시재 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
제2분과 : 사이버 경제의 전개와 삶의 질 |
1) 사이버 경제의 세계화와 삶의 질 |
이정우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 |
2)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기업환경의 변화
|
김준석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 |
3) 디지털경제의 전개와 사회적 불평등 |
임현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제3분과 : 사이버 문화와 삶의 질 |
1) 사이버 문화의 특성과 동학 |
김문조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
2) 사이버 시대의 언론과 공론 |
임영호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3) 사이버 시대의 언어생활 |
최호철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제4분과 : 사이버 교육과 사회윤리 |
1) 사이버 교육의 전망과 과제 |
이옥화 충북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2) 사이버 공간에서의 규제와 윤리의 문제
|
방석호 홍익대 법학과 교수 |
3) 사이버 시대의 성문화와 성윤리 |
허라금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