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재단, 제13회 아산의학상 시상
서울대 이원재(기초), 울산의대 이재원(임상) 교수 수상
젊은의학자부문 KAIST 주영석(기초) · 연세의대 이용호(임상) 교수
본상 수상자 각 3억 원 등 총 7억 원 시상… 코로나19로 수상자만 초청 진행
.......................................................................................................................................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3월 19일(목) 오후 5시 30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제13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열고,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이원재(53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임상의학부문 이재원(63세) 울산대 의대 흉부외과학교실 교수에게 각각 3억 원,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주영석(38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이용호(40세) 연세대 의대 내과학교실 교수에게 각각 5천만 원 등 4명에게 총 7억 원의 상금을 수여했습니다.
아산의학상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어낸 국내외 의과학자를 발굴하여 격려하기 위한 상으로 지난 2007년 제정됐습니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이원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장내 미생물 분야가 미처 주목받기 전인 2000년도 초반부터 장내 미생물들의 생태계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로 질병치료와 영양실조에 의한 저성장증 어린이 성장촉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임상의학부문 수상자인 이재원 울산대 의대 교수는 상처는 작고 회복은 빠른 최소침습심장수술법을 개발하고, 로봇심장수술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심장질환 치료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만 40세 이하의 의과학자에게 주어지는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암 발생 유전체의 구조 및 발생 기전을 규명했으며, 이용호 연세대 의대 교수는 근육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과 관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새로운 위험인자를 규명하고, 치료 및 예방의 근거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국내 의과학계 발전을 위해 2011년 조성한 아산의학발전기금을 2017년 400억 원의 규모로 확대해 아산의학상 시상 및 수상자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매년 300여 명의 수상자와 가족, 동료 의과학자가 참석하는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던 아산재단은 올해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수상자 부부만 초청해 진행했습니다. 이용호 교수는 현재 미국에서 장기 연수 중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출입국 절차의 어려움에 따라 아버지 이현철 씨(71세, 전 연세대 의대 내과학교실 교수)가 대신 수상했습니다.
■ 인사말

<정몽준 이사장>
오늘 아산의학상을 수상하신 이원재 서울대 교수님, 이재원 울산의대 교수님, 주영석 KAIST 교수님, 이용호 연세의대 교수님께 축하인사를 드립니다.
수상자들을 선정하느라 애쓰신 아산의학상 운영위원회의 이승규 위원장님과 위원님들, 심사위원회의 박승정 위원장님과 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저희 선친께서는 40여 년 전인 1977년에 질병과 빈곤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하셨고, 저희 재단은 그 뜻을 이어 받아 2007년에 아산의학상을 제정했습니다.
아버님께서는 평소에 “의학이라는 학문과 의술은 참으로 무한하다. 따라서 여러분이 할수 있는 일 자체도 또한 한이 없다. 숭고한 정신을 한없이 발휘할 수 있는 분야가 의료계라고 생각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 놓인 환자들을 끝까지 지켜주고, 질병치료를 위한 연구에 매진하는 여러분들에게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전합니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이원재 교수님은 경북대 지질학과 교수였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 연구자의 길을 선택하셨고, 임상의학부문 수상자이신 이재원 교수님은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자 의대에 진학하셨다고 합니다.
젊은의학자상을 수상한 주영석 교수님은 연구자가 되고자 의대에 진학하셨다고 하며,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의 이용호 교수님은 현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벅 노화연구소’에서 2년 예정으로 연수중이십니다.
오늘 수상자 네 분의 훌륭한 업적들은 우리나라 의과학의 자랑스러운 자산입니다. 묵묵히 연구에 매진하는 자세는 많은 의과학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상자 분들께 다시 한 번 축하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