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가을 편지 산책의 비밀 이기호

E=mc²
이 공식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상대성 이론이다. 이 작은 문자와 기호의 조합으로 인해 인류는 이전까지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끔찍한 원자폭탄도 만들었고, 텔레비전 음극선과 새로운 에너지원도 발견하게 되었다. 지난 20세기, 그리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는 이 공식에 많은 부분 빚을 지고 있으며, 또 앞으로도 그 빚은 계속 늘어갈 것이다.

이 공식을 창조해낸 아인슈타인의 위대성은, 그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던 질량과 빛의 관계를 에너지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성질과 연결시킨 데 있다. 이질적인 것들이 실상은 서로 닮아 있고, 상호 의존적이었다는 인식. 이것은 결코 간단한 인식이 아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지금 이 글이 인쇄되어 있는 이 종이 한 장 안에는 지구를 단숨에 날려버릴 수 있는 무시무시한 힘이 숨어 있다고 한다.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섬유질과 잉크의 혼합물인 이 종이에, c²에 해당하는 속도(그러니까 448,900,000,000,000,000mph)만 가해질 수 있다면, 이 종이는 더 이상 종이가 아닌 인류 최후의 폭탄으로 변모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말인즉슨, 지금 이 종이가 종이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단지 종이 자신의 에너지를 감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그것을 인식하고 상상해낸 것이다. 남들과 다른 상상으로 이 세계 도처에 감추어져 있던 진실을, 남들보다 한 걸음 먼저 달려가 바라본 것이다.

사실, 아인슈타인은 학업 성적이 그리 좋은 친구는 아니었다. 또한 그는 짓궂은 농담과 잦은 결석으로 교사의 미움을 받았고, 한 교사로부터는 ‘넌 결코 아무것도 될 수 없을 거야!’라는 멸시에 찬 예언을 듣기도 했다. 그랬거나 말거나 그의 학업 성취도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잦은 결석 또한 개선되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인 헤르만 아인슈타인은 자식의 미래를 염려해 교수에게 취업 청탁 편지까지 보냈으나, 편지를 받은 교수는 답장이 없었다. 그만큼 아인슈타인은 학교와 스승에게서 이미 ‘찍힐 만큼 찍힌’ 상태였고, 그것은 그가 학문적으로 어떤 성과를 거두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는 뜻이기도 했다.

그럼 어떻게 그런 상황 속에서 그는 아무도 생각지 못했던 세계의 비밀을 혼자의 힘만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일까? 그 비결은 생각보다 아주 간단한 곳에 숨어 있었다. 그건 그의 전기를 조금만 눈여겨보면 쉽게 찾을 수 있는 생의 비밀이기도 하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도 못하고 있는 아인슈타인을 보다 못한 친구 마르셀 그로스만은, 그를 특허국 하급 직원으로 취직하게 도와주었다. 그가 일하게 된 특허국은 물리학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곳이었다. 늦은 퇴근 시간으로 인해 도서관 또한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이었다. 결혼도 했고, 아이도 두 명이나 있는 상황. 공부는 무슨 공부인가. 그가 할 수 있었던 것은 고작 쉬는 시간에 혼자 사무실 책상에 앉아 업무와 상관없는 메모를 하는 것과, 휴일 오후 도심 변두리를 홀로 산책하는 것, 오직 그것뿐이었다. 그 시절이 근 4년이었다. 메모와 산책으로 이루어진 4년. 그리고 바로 그 산책 중에 그는 그 무시무시한 공식을 발견해낸 것이다. 그렇다면 답은 뻔한 것이다. 오늘날 인류의 위대한 발견 중 하나로 꼽히는 상대성 이론은, 결코 실험실이나 도서관에서 얻어진 산물이 아니라는 것, 그건 오직 한 사람의 산책 중에 나왔다는 것. 그가 산책 중에 무엇을 했겠는가? 혼자 산책을 하면서 체스를 두었겠는가, 아니면 바느질을 했겠는가. 당연, 상상밖에 할 일이 무엇이 있었겠는가! 그러니까 모든 힘은 바로 상상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그러면 뭐냐? 산책을 하자는 말이냐?

맞다. 내가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바로 산책이다. 산책이 없는 시절이다. 산책이 없기 때문에 상상도 일방적이고 권위적일 수밖에 없다. 상상할 시간을 기를 쓰고서라도 확보하지 않으면, 우린 그저 컨베이어 벨트 위를 걸어다니는 사발면이 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요즈음 지하철을 타보면 온통 스마트폰에 열중한 사람들뿐, 다른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사람들은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얻는다. 정보는, 우리와 전혀 대화하려 하지 않는 친구들이다. 그들은 일방적으로 우리를 훈계하고 가르치려들 뿐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들 옆에서 결코 우리들 자신만의 상상을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니 어쩌겠는가. 의도적으로라도, 필사적으로라도, 우리는 산책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 또한 당신 자신의 몸속에, 당신의 E=mc²를 숨기고 있는 것이 분명하니, 이제 그들을 불러내어 대화해야 하지 않겠는가. 꼭 산에 가야만 산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세계를 갖는 것. 그것이 바로 산책의 시작이다. 때는 또한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오는 길목이 아니던가.

※ 이기호: 1972년 강원도 원주 출생. 1999년 <현대문학> 신인추천공모에 단편 ‘버니’가 당선되며 등단. <사과는 잘해요>, <갈팡질팡하다가 내이럴 줄 알았지>, <최순덕 성령충만기> 등 출간. 대산창작기금, 이효석 문학상 수상.

이미지 하단